이 이름 모를 사람이 (한참을 이야기 하고 술잔이 오고 가도록 서로 통성명도 제대로 안 하고 있었다;;; 이때만 해도 그냥 스쳐가는 인연일 뿐이라고 생각했던 듯...) 내 몇 달 전의 기억 속에 짱박혀 있던 주상돈이 아닐까하는 호기심으로 그에게 물었다.
"혹시... 주상돈씨 아니에요? 서울대 다니시고..."
주상돈... 당황한다.
"금년 초에 저한테 태터툴즈 플러그인과 관련해서 메일 보내신 적 있죠?"
상돈씨가 대답하기를 자기가 금년 초에 계획하던 것이 있어서 여러 사람들한테 이런 저런 메일을 보낸 적이 있었단다. 그렇지만 정확히 기억은 안 난다며 잡아 뗀다.
자, 기억을 되살려 보자.
2007년 초의 이야기를 하자면, 한창 태터툴즈로 친구들과 팀블로그를 만들고 여기에 필요한 태터툴즈 플러그인을 만들고 있던 시기였다. 그러던 와중에 내 블로그에 달린 댓글이 하나 있었다.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으니 연락 좀 달라는 것이었다. 블로그를 하면서 이런 식의 피드백은 처음이었던지라 두근두근 떨리는 마음으로 댓글에 남긴 메일 주소로 연락을 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안녕하세요. 주상돈입니다."라는 제목으로 꽤나 긴 장문의 답메일을 받았다.
정확히는 2007년 3월 19일의 일이었다. (역시 내가 애용하는 구글 메일에 모든 기록이 남아있다.) 메일내용의 요지는 본인이 '블로그 네트워크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는데 내가 만든 플러그인을 보았고, 이것을 발전시켜서 자신의 프로젝트에 적용했으면 한다는 것이었다. 덧붙여 카투사로 복무 중이지만 1달 뒤면 제대를 할 것이고, 서울대에 다니고 있다는 자기 소개도 했다.
나는 이 메일을 보면서 '아... 서울대생도 뻘짓을 하는구나...' 라고 느꼈다. 뭐랄까... 세상물정 모르는 서울대생의 뻘짓거리? 여튼 쓸데없는 짓을 한다는 느낌을 받으면서 "전 됐습니다~"하는 답변을 줬다. 그런데 또 메일이 왔다. "혹시나 너무 거창하게 말해서 부담이 가셨을지 몰라서 다른 식의 관점도 말씀드립니다... 어쩌구 저쩌구..."라는 내용을 시작으로 정확히 11통의 메일을 주고 받았다. 결국에는 '음... 되게 진지한데?"하는 느낌을 받으면서 참여 하겠다는 메일을 보냈다.
그런데 그 뒤로 연락이 없었다... '이건 뭥미?'스러운 결말이지만, 아쉬운건 없었기에 내 나름 생각에 제대하고 정신차렸나 보다하고 넘어 갔었다.
그 날 설명회에서는 상돈씨가 어떤 사업 아이템을 가지고 있는지는 비밀이라며 이야기 해 주지는 않았지만, 확실한 기획이 있다는 이야기와 함께, 나에게도 생각 있으면 연락 달라는 말을 끝으로 우리는 헤어졌다.
다시 말하지만, 당시 8월 말은 외국여행에서 돌아와 정신 못 차리고 헤롱대던 시기였다. 외국에서 너무 잘 지냈던 탓이었을까? 학교는 다니기 싫었고, 필드에서 뛸 수 있는 진짜 일이라는 걸 해 보고 싶었다. 나를 크게 성장시킬만한 무언가를 하고 싶었던 것 같다. 그래서 나이스타이밍이라는 느낌을 받으며 자연스럽게 상돈씨에게 연락을 했다. 그리고 그들이 하고자 하는 일이 무엇인지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이야기와 꿈, 야망에 대해 들으면서 역시 자연스럽게 Team Rukie의 일원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일이 시작된지 1년이 채워지고 있다. 짧지않은 시간을 팀원들과 동거동락하면서 보낸 이 시점에서 팀원들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면 그들의 첫인상에 비한 행태(?)는 많이 달라져있다. 하나둘 모여가며 시작된 우리의 스타트업라이프에 많은 에피소드들도 쌓였고, 의미있는 히스토리가 되어가고 있다고 생각되어 뿌듯한 감이 있다. 앞으로도 내가 이들에게 더 많은 의미가 되고 이들이 나에게 더 많은 의미가 되었으면 좋겠다.
그런데 내가 이 글을 작성하는 지금, 한가지 오묘한 느낌은 이렇게 다시만난 주상돈의 압박속에 오늘도 개발을 하고 있다.
"혹시... 주상돈씨 아니에요? 서울대 다니시고..."
주상돈... 당황한다.
"금년 초에 저한테 태터툴즈 플러그인과 관련해서 메일 보내신 적 있죠?"
상돈씨가 대답하기를 자기가 금년 초에 계획하던 것이 있어서 여러 사람들한테 이런 저런 메일을 보낸 적이 있었단다. 그렇지만 정확히 기억은 안 난다며 잡아 뗀다.
자, 기억을 되살려 보자.
2007년 초의 이야기를 하자면, 한창 태터툴즈로 친구들과 팀블로그를 만들고 여기에 필요한 태터툴즈 플러그인을 만들고 있던 시기였다. 그러던 와중에 내 블로그에 달린 댓글이 하나 있었다. 하고 싶은 이야기가 있으니 연락 좀 달라는 것이었다. 블로그를 하면서 이런 식의 피드백은 처음이었던지라 두근두근 떨리는 마음으로 댓글에 남긴 메일 주소로 연락을 했다. 그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안녕하세요. 주상돈입니다."라는 제목으로 꽤나 긴 장문의 답메일을 받았다.
정확히는 2007년 3월 19일의 일이었다. (역시 내가 애용하는 구글 메일에 모든 기록이 남아있다.) 메일내용의 요지는 본인이 '블로그 네트워크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는데 내가 만든 플러그인을 보았고, 이것을 발전시켜서 자신의 프로젝트에 적용했으면 한다는 것이었다. 덧붙여 카투사로 복무 중이지만 1달 뒤면 제대를 할 것이고, 서울대에 다니고 있다는 자기 소개도 했다.
나는 이 메일을 보면서 '아... 서울대생도 뻘짓을 하는구나...' 라고 느꼈다. 뭐랄까... 세상물정 모르는 서울대생의 뻘짓거리? 여튼 쓸데없는 짓을 한다는 느낌을 받으면서 "전 됐습니다~"하는 답변을 줬다. 그런데 또 메일이 왔다. "혹시나 너무 거창하게 말해서 부담이 가셨을지 몰라서 다른 식의 관점도 말씀드립니다... 어쩌구 저쩌구..."라는 내용을 시작으로 정확히 11통의 메일을 주고 받았다. 결국에는 '음... 되게 진지한데?"하는 느낌을 받으면서 참여 하겠다는 메일을 보냈다.
그런데 그 뒤로 연락이 없었다... '이건 뭥미?'스러운 결말이지만, 아쉬운건 없었기에 내 나름 생각에 제대하고 정신차렸나 보다하고 넘어 갔었다.
그 날 설명회에서는 상돈씨가 어떤 사업 아이템을 가지고 있는지는 비밀이라며 이야기 해 주지는 않았지만, 확실한 기획이 있다는 이야기와 함께, 나에게도 생각 있으면 연락 달라는 말을 끝으로 우리는 헤어졌다.
다시 말하지만, 당시 8월 말은 외국여행에서 돌아와 정신 못 차리고 헤롱대던 시기였다. 외국에서 너무 잘 지냈던 탓이었을까? 학교는 다니기 싫었고, 필드에서 뛸 수 있는 진짜 일이라는 걸 해 보고 싶었다. 나를 크게 성장시킬만한 무언가를 하고 싶었던 것 같다. 그래서 나이스타이밍이라는 느낌을 받으며 자연스럽게 상돈씨에게 연락을 했다. 그리고 그들이 하고자 하는 일이 무엇인지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이야기와 꿈, 야망에 대해 들으면서 역시 자연스럽게 Team Rukie의 일원으로 참여하게 되었다.
일이 시작된지 1년이 채워지고 있다. 짧지않은 시간을 팀원들과 동거동락하면서 보낸 이 시점에서 팀원들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면 그들의 첫인상에 비한 행태(?)는 많이 달라져있다. 하나둘 모여가며 시작된 우리의 스타트업라이프에 많은 에피소드들도 쌓였고, 의미있는 히스토리가 되어가고 있다고 생각되어 뿌듯한 감이 있다. 앞으로도 내가 이들에게 더 많은 의미가 되고 이들이 나에게 더 많은 의미가 되었으면 좋겠다.
그런데 내가 이 글을 작성하는 지금, 한가지 오묘한 느낌은 이렇게 다시만난 주상돈의 압박속에 오늘도 개발을 하고 있다.
'청춘 야생 드라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두번째 이야기. 아직 끝나지 않은 이야기 (6) | 2008.07.24 |
---|---|
열한번째 이야기~ 획! 하나는 긋고 졸업하자! (5) | 2008.07.23 |
아홉번째 이야기, 인연의 시작과 우연한 만남 (3) | 2008.07.18 |
여덟번째 이야기, 빈대정신. (4) | 2008.07.16 |
일곱번째이야기, 모던보이 vs 오스트랄로피테쿠스 (3) | 2008.07.14 |